25.10.6(월) ~ 25.10.12(일) 국내외 금융권 주요 뉴스

25.10.6(월) ~ 25.10.12(일) 한 주간 국내외 금융권 주요 뉴스입니다.

1. 해외 금융권 주요 이슈

정치 리스크로 인한 시장 변동성 확대

  • 프랑스 총리의 전격 사임과 일본 총선 결과(재정확대 노선 지지) 등으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흔들렸습니다.
  • 유럽 채권금리 급등, 엔화 약세, 달러 강세 등 정치 이벤트 중심의 단기 변동성이 확대되었습니다.

미국 증시 조정 우려

  • 올 들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해온 미국 증시가 10월 들어 조정 국면에 진입.
  • 일부에서는 관세 재부상 가능성, 실적 부담, 고평가 논란 등이 겹쳐 ‘기술주 조정’ 신호로 분석.
  • 특히 AI 관련 대형주(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었습니다.

암호화폐 해킹 및 사이버 리스크 확대

  • 북한 연계 해커조직이 2025년 들어 암호화폐 약 15억 달러 규모 탈취한 것으로 조사됨.
  • 미국 재무부는 “국가 기반 사이버 공격 대응 강화 방안” 검토 중.

Global Fintech Fest 2025 (인도 뭄바이 개최)

  • 10월 7~9일 개최, 주제는 “AI 중심의 금융 혁신 (AI at the Core of Finance)”.
  • 전 세계 금융기관과 빅테크(구글, 마스터카드, 페이팔 등)가 참가하여 AI 신용평가, 디지털화폐, 리스크 모델링 사례를 공유함.


2. 국내 금융시장 및 산업 주요 뉴스

코스피 사상 첫 3,600 돌파

  • 10월 10일 기준 코스피 3,603.21로 종가 기준 최고치 갱신.
  • 외국인 순매수 확대와 반도체·2차전지 업종 중심의 상승세가 견인.
  • 다만 전문가들은 “실적 모멘텀 한계로 3,700 돌파는 쉽지 않다”고 신중론 제기.

반도체·AI주 중심 ‘편중 랠리’

  •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 카카오 등 기술·AI 관련주가 전체 상승세를 주도.
  • 코스닥은 오히려 약세를 보이며 ‘양극화 장세’ 심화.

채권시장, ‘안전자산 선호’ 강화

  • 기관투자자 중심으로 국채·통안채 등 안전자산으로 자금 이동.
  • 국채 10년물 금리 3.1%대로 하락, 약 70조 원 규모의 채권 순유입 추정.
  • 미국 금리 동향과 달리 한국은 금리 인하 기대감이 반영된 결과로 분석.

한국 vs 대만 성장률 격차 확대

  • 글로벌 투자은행(UBS, Citi 등)은 대만 5% 중반 성장, 한국 1%대 초반 전망을 제시.
  • 수출 회복 지연과 내수 부진이 원인으로 지적됨.
  • 한국은행은 “연말까지 완만한 회복세 지속될 것”이라며 기준금리 동결 기조 유지 중.

3. 금융권 시사점 요약

구분주요 내용시사점
글로벌정치·무역 불확실성 재부상환율 및 금리 변동성 확대 가능성
국내 증시반도체·AI주 중심 강세업종 편중 위험, 조정 대비 필요
채권시장안전자산 선호 강화금리 하락, 채권형 상품 매력 상승
거시경제한·대만 성장률 격차 확대수출·투자 회복 위한 정책 대응 필요


4. 은행 · 증권 · 보험 등 금융업권별 세부 뉴스 요약

업권주요 내용특징 및 리스크 요인
은행권– 일부 시중은행(농협, 신한 등)이 연간 대출 증가 목표를 이미 초과했다는 보도 있음 한국경제TV
– 연말에는 총량 규제 강화 가능성 거론됨 (“대출 보릿고개” 우려) 한국경제TV
대출 증가 통제를 위한 내부 영업 조정, 금리 조정 또는 대출 문턱 상승 가능성
증권·자본시장– 주간 코스피 순매수 1위 종목: 기관 “두산에너빌리티”, 외인 “삼성전자”, 개인 “SK하이닉스” 금융신문
– 코스닥 쪽에서는 기관 “원익IPS”, 외인 “로보티즈”, 개인 “알테오젠”이 순매수 중심 종목으로 꼽힘 금융신문
기술·반도체 중심 주도 흐름 지속 가능성 있지만, 업종 편중 위험 존재
보험권– 보험산업 전반에 대한 제도 개선 움직임 지속 (상품 구조 조정, 회계 제도 개선, 리스크 평가 강화 등) (전망 자료) Kiri
– 낮아지는 금리 환경 속에서 보험사들의 할인율 현실화 압박 가능성
금리 하락 → 보험사 수익성 약화 가능성, 리스크관리 및 자본 적정성 강화 필요성 부각


5. 금융당국 · 정책 동향 요약 (한국은행, 금융위원회, 금감원 등 중심)

기관 / 정책동향 요약시의적 고려 사항
한국은행 / 통화정책– 기준금리 동결 전망 강화 (10월 기준금리 인하보다는 동결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 Nate News
– 통화안정증권 발행 계획 공시 (10월 중 발행 계획 수립) 한국은행+1
금리 인하 여력 제한, 유동성 관리 중심 정책 스탠스가 유지될 가능성
금융위원회 / 감독당국– 2025년 지표금리 개혁 추진 계획 (예: KOFR 확대) 공개됨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 은행 대출 증가 과열 문제에 대해 규제 가능성 언급 (대출 목표 초과 등) 한국경제TV
지표금리 체계 전환에 따른 충격 관리 필요, 대출총량 규제와 금융사 영업 전략 간 조정
금융안정 및 거시감독– 금융안정 관련 보고서에서 가계대출 증가 둔화 흐름 관찰됨 (DSR 규제 영향 등) KDI 경제정보센터
– 기업 경기 및 소비·투자 지표 변화 주시 (기업경기지수, 소비동향 등) 한국은행+1
대출 건전성 리스크 관리 강화, 스트레스 테스트 및 충격 대비 제도 보완 가능성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